가스기능사 자격증 시험 정보
가스기능사는 가스와 관련된 직무를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국가기술자격증입니다. 가스 제조, 저장, 공급 시설부터 고압가스를 충전하는 용기의 운반과 관리, 용기 부속 교체 등의 업무를 담당합니다. 도시가스 사업자 및 특정 가스 사용시설의 안전관리자로 선임될 수 있으며, LPG 충전소에 취업하기에 특화되어 있습니다.
가스기능사 시험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필기시험은 가스일반, 가스장치 및 기기, 가스안전관리 세 과목으로 60문제 중 36문제 이상을 맞추면 합격입니다. 실기시험은 가스실무로 복합형 (필답형 + 작업형)으로 2시간 30분 동안 치루어집니다. 가스기능사 시험은 매년 4회 정기적으로 실시되며, 원서접수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의 Q-net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습니다.
가스기능사 시험의 합격률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에 따라 다릅니다. 2022년에는 필기시험의 평균 합격률이 33.6%이고, 실기시험의 평균 합격률이 31.2%였습니다. 2021년에는 필기시험의 평균 합격률이 31.9%이고, 실기시험의 평균 합격률이 44.2%였습니다. 역대 가스기능사 시험의 평균 합격률은 필기시험이 29.9%, 실기시험이 27.8%입니다. 다른 기능사 자격시험보다 합격률이 낮은 편에 속합니다.
가스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가스 관련 시설의 안전관리자나 안전관리원으로 선임될 수 있습니다. 가스 수요의 증가에 따라 가스 안전에 대한 중요성도 증가하고 있으므로 취업 기회도 많습니다. 취업할 수 있는 곳은 한국가스공사, 한국가스안전공사, 한국가스기술공사와 같은 공공기관이나 도시가스업체, 정유사, 석유화학회사, 선박회사, 가스 관련 제조회사 등 다양한 사기업이 있습니다. 연봉은 기업마다 다르지만 2021년 기준으로 E1은 5,600만원, SK가스는 4,700만원, 한국가스공사는 4,100만원 등의 수준입니다. 또한 가스기능사 자격증은 화공직 공무원 시험에서 가산점을 받을 수 있는 자격증이기도 합니다.
가스기능사 자격증 외에 다른 가스 관련 자격증은 무엇이 있을까?
가스 관련 자격증은 가스기능사, 가스산업기사, 가스기사, 가스기능장, 가스기술사 등이 있습니다. 각 자격증의 특성과 진로 방향은 다음과 같습니다.
가스기능사 : 가스 제조, 저장 및 공급시설의 관리, 유지, 보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격입니다. 별도의 응시자격이 없으며, 주로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관련 전공을 한 학생들이 취득합니다. 가스 안전관리자나 안전관리원으로 선임될 수 있습니다.
가스산업기사 : 가스기능사에 비해 숙련 기능과 기초지식을 가지고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입니다. 2~3년제 대학교 관련 전공의 졸업 (예정)자 또는 가스기능사 자격증 취득 후 1년 이상의 경력을 쌓은 자가 응시할 수 있습니다. 주로 2~3년제 대학교에서 관련 전공을 하신 분들이 취업을 위해 많이 취득합니다.
가스기사 : 주로 4년제 대학교 관련 전공의 졸업 (예정)자 분들이 많이 취득합니다. 특히 화학공학과, 기계공학과 출신인 분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. 안전관리자 선임기준을 충족할 수 있어서 가스 분야로 취업한다면 안전관리자로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.
가스기능장 : 가스자격증 중에서 상당히 높은 수준의 자격입니다. 가스기능사 자격증 취득 후 7년, 가스산업기사 자격증 취득 후 5년 이상의 경력을 쌓은 분들이 취득합니다. 가스 관련 분야에 많은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일 뿐 아니라, 현장 경력이 많고 잔뼈가 굵은 사람으로 통합니다. 주로 가스 산업현장에서 사람들의 작업을 관리하고, 지도 및 감독하고, 경영층과 생산층의 중간 다리를 맡는 역할을 합니다.
가스기술사 : 가스자격증 중에서 가장 수준이 높은 자격입니다. 주로 가스기사 자격증 취득 후 4년 이상의 경력을 쌓은 분들이 취득합니다. 시험 난이도가 굉장히 높고 많은 준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몇 년 동안 취득을 준비하는 분들도 있습니다. 만약 가스기술사 자격증을 취득할 경우, 가스 분야에서는 거의 박사급에 준하는 매우 높은 대우를 받게 됩니다.
가스산업기사 자격증을 취득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.
검정형 : 국가기술자격 시험에 응시하여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에 모두 합격하는 방법입니다. 응시자격은 다음과 같습니다.
기술자격 소지자 : 동일 (유사) 분야 다른 종목 산업기사, 기능사 + 실무경력 1년, 동일종목 외국자격 취득자, 기능경기대회 입상자
관련학과 전공자 : 대졸 (졸업예정자), 전문대졸 (졸업예정자), 산업기사 수준의 훈련과정 이수 (예정)자
순수 경력자 : 실무경력 2년 (동일, 유사 분야)
과정 평가형 : 교육, 훈련 과정을 이수한 후 내부평가와 외부평가를 거쳐 일정 합격기준을 충족하는 방법입니다. 응시자격은 다음과 같습니다.
기술자격 소지자 : 동일 (유사) 분야 다른 종목 산업기사, 기능사 + 실무경력 1년, 동일종목 외국자격 취득자, 기능경기대회 입상자
관련학과 전공자 : 대졸 (졸업예정자), 전문대졸 (졸업예정자), 산업기사 수준의 훈련과정 이수 (예정)자
학점은행제 이수자 : 고등학교 졸업 후 관련학과 41학점 이상 이수한 자
자격증 및 독학사 이수자 : 국가공인 자격증 또는 독학사 시험에 합격한 자
가스기능사 자격증은 국지지원이 되지 않습니다. 전국에서 시험을 치르는 것이 원칙입니다. 감사합니다.

'자격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항공기체기술사 자격증을 알아보아요. (0) | 2023.05.05 |
---|---|
보석감정사 자격증 연봉 일자리 전망 (1) | 2023.05.02 |
도배기능사 자격증 시험 전망 국비지원가능 (0) | 2023.04.30 |
물류관리사 자격증 정보 국비지원 받기 (0) | 2023.04.28 |
제과제빵 자격증 시험 정보 국비지원 받으세요 (0) | 2023.04.26 |